지난 9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상품수지 흑자에 힘입어 5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3·4분기까지 경상수지는 1658000만달러 흑자로 한국은행 연간 경상수지 전망(270억달러 흑자) 달성까지 105억달러가 남았다.

9월에는 서비스수지 적자폭이 확대된 반면 상품수지 흑자폭이 늘어 2년래 가장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과 수입이 동반 감소한불황형이지만 수출 감소폭이 줄어 부진이 완화되는 조짐이다.

8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 9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9 경상수지는542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5 이후 5개월 연속 흑자다. 지난 8(498000만달러) 비해 흑자폭이 늘어난 것으로, 올해 6 (587000만달러)이후 가장 흑자를 냈다.

특히 상품수지가 2 만에 최대폭 흑자였다. 9 상품수지는 742000만달러 흑자로2021 9(755000만달러) 이후 가장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이 5566000만달러, 수입이 482300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각각 2.4%, 14.3% 감소한 것이다. 수입이 수출보다 줄어들면서 흑자를 내는 불황형이지만 수출 감소폭이줄어 부진이 완화되는 모습이다.

서비스수지는 전월대비 적자폭을 키웠다. 319000만달러 적자로 전월(-157000만달러) 비해 적자가 수준이었다. 여행수지 적자폭이 114000만달러에서 97000만달러로 소폭 줄었지만 지식재산권사용료, 기타사업서비스 수지 적자폭이 확대된결과다.

본원소득수지는 157000만달러 흑자로 전월(146000만달러 흑자) 비슷한 수준이었다. 투자소득수지가 172000만달러 흑자로 전월(156000만달러)대비 소폭 개선됐다.

3·4분기까지 경상수지는 누적 1658000만달러 흑자를 것으로 집계됐다. 상품수지가 1359000만달러 흑자, 본원소득수지가 2544000만달러 흑자로 경상수지 흑자를 견인했다. 반면 서비스수지는 1921000만달러 누적 적자를 기록했고 이전소득수지도 324000만달러 누적 적자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지난 8 경제전망보고서를 통해 올해 연간 경상수지 흑자폭을 270억달러로상향 조정했다. 4·4분기 105 달러 흑자를 내면 한국은행 전망치에 부합한다.

한국은행은하반기에는 수출 부진 완화, 에너지 감소 등에 더해 중국 관광객 유입 증가의영향으로 흑자폭이 확대될 이라고 전망한 있다.

한편 9 금융계정은 순자산이 452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를 살펴보면 내국인해외투자가 20억달러 증가했고 외국인 국내투자가 35000만달러 늘었다. 증권투자 부문에서 내국인 해외투자가 657000만달러, 외국인 국내투자가 137000만달러 증가했다.

파이낸셜뉴스 김나경 기자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