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우리나라는 37억달러 규모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최근 2년 내 최대 흑자 규모다. 수출은 여전히 감소세를 기록했지만, 수출액이 줄어들기 시작한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9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1년 전보다 4.4% 감소한 546억6000만 달러(약 74조643억원)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달 수입은 16.5% 줄어든 509억6000만 달러(약 69조508억원)를 기록했다. 이에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37억달러(약 5조135억원) 흑자였다. 무역수지는 4개월 연속 흑자로 집계됐다.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12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다만 수출 실적은 이전보다 개선된 모양새다. 감소율이 4%대로 전월(-8.4%)에 이어 한자릿수를 이어갔다는 점에서다. 이는월별 수출 실적이 감소세로 전환된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아울러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도 37억 달러(약 5조135억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 이후 최고치이자 지난해 9월(26억6000만 달러)과 매우 근접한 수치다. 수출물량은 수출액 감소에도 전년 대비 0.3% 증가했다.
지난달 수출 개선세는 그동안 고전하던 반도체와 중국 실적 영향으로 풀이된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출 감소율을 기록했다“며 “반도체 수출 최대실적과 올해 최고 수준의 대중국 수출 등 우리 수출이 플러스 전환의 변곡점에 위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수출은 지난 1분기 최저치를 기록한 뒤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0월이후 1년 만에 최고치인 99억4000만 달러(13조4687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13.6% 떨어진 수치지만 올해 가장 낮은 감소율이다.
앞으로 메모리 감산효과 가시화와 현물 가격 반등, 고성능 제품 수요 확대 등에 따라 수급상황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 메모리 감산효과가나타나고 현물가격이 반등하면서 고성능 제품 수요가 확대되면서 수급 상황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국인 중국과의 수출이 올해 최고치인 110억 달러(14조9050억원)로 집계됐다. 2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도 1억 달러로 적자폭을 줄이며 올해 3월 이후 6개월 연속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수입은 원유(-16%)와 가스(-63%), 석탄(-37%) 등 에너지 수입이 감소(-36%)함에 따라 16.5% 감소했다. 에너지 외에도 반도체와 반도체 장비 등의 수입이 감소세를 보였다. 9월 무역수지는 최근 2년 내 최대 흑자 규모인 37억달러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흑자 흐름을 이어갔다.
특히 지난달에는 수출 실적이 눈에 띄게 개선되고 무역흑자 역시 2년 내 최대 수준으로 불어났다는 점에서 이내 불황형흑자를 벗어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수출 실적이 우리 주요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최대 시장인 중국을 중심으로 눈에 띄게 개선됐다는점에서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우리 수출이 세계적 고금리 기조, 중국의 경기둔화, 공급망 재편 등여전히 녹록지 않은 대외여건 속에서도 개선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수출 주무 장관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수출 반등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수출 유관부처·지원기관·경제단체·업종별 협단체 등과 함께 모든 역량을 결집해 총력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