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5월 31일 시작한 북한 우주발사체 등 잔해물 탐색 및 인양작전을 종료했다고 공개했다.
이날 합참에 따르면 “이번 작전을 통해 북한의 우주발사체와 위성체의 주요 부분을 인양하여 한미 전문가가 면밀히 분석했다“면서 “정찰위성으로서의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다“고 평가했다
군 당국은 북한 발사체 추락 당일부터 이날까지 36일간 해당 해역에서 탐색·인양작전을벌여 6월5일엔 직경 2~3m 크기의 고리 형태 잔해를, 그리고 같은 달 15일엔 길이 약12m·직경 2~3m 크기의 2단 추진체 일부 추정 잔해를 각각 인양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 군은 이후 위성체 잔해도 인양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은 “이번 작전을 통해 북한 우주 발사체와 위성체 주요 부분을 인양해 한미 전문가가면밀히 분석했다“며 “우리 군은 어려운 작전환경 속에서도 잔해물 다수를 인양함으로써우수한 작전수행능력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지난 5월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만리경 1호를 탑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을 쏘아 올렸지만, 이 발사체는 1단 분리 후 2단 점화에 실패해 전북 군산 어청도 서방200여㎞ 해상에 추락했다.
군은 북한이 발사체를 쏜 지 약 1시간 30분 만에 낙하 해상에서 천리마 1형의 잔해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발견했으며, 지난 15일 3단 로켓인 천리마 1형의 2단부를 인양했다.
이후 군은 이날까지 낙하 해상에서 잔해물 탐색·인양 작업을 이어왔다.
북한은 정찰위성 발사 실패 직후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예고한 바 있지만 지금까지 실행과 관련한 구체적 동향은 관측되지 않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