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年 10月 月 03 日 火曜日 3:04 am
spot_img
ホーム정치/경제경제5월 소비자물가 3.3%↑ 19개월만 최저…"외식·공공요금 여전히 높네"

5월 소비자물가 3.3%↑ 19개월만 최저…”외식·공공요금 여전히 높네”

5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 초반까지 내려왔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3.3% 상승하며 2개월 연속 3%대에 머물렀다. 오름폭은 2021 10 이후 1 7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통계청이 2 발표한 ‘5 소비자물가 동향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111.13(2020=100)으로 1 전보다 3.3% 올랐다.

물가상승률은 작년 12 5.0%에서 올해 1 5.2% 소폭 상승한 2 4.8%, 34.2%, 4 3.7% 등으로 둔화하고 있다.

석유류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전체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는 양상이다. 석유류는 1 전보다 18.0% 내렸다. 2020 5(-18.5%) 이후 3 만의 최대 감소 폭이다.

전체 물가상승률에 대한 석유류의 기여도는 -0.99%p 전달(-0.90%p)보다 마이너스폭이 커졌다. 석유류가 물가상승률을 1%p가량 떨어뜨렸다는 뜻이다.

··수산물도 작년 동월 대비 0.3% 하락했다. 특히 돼지고기(-8.3%), 국산쇠고기(-6.4%), 수입쇠고기(-8.0%) 등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반면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23.2% 올랐다. 전기요금 인상 등과 맞물려 전달(23.7%)이어 두달 연속으로 20% 급등세를 이어간 것이다. 도시가스는 25.9%, 전기료는25.7% 올랐다.

외식 물가 상승세도 여전히 거세다. 외식 가격은 6.9% 상승했다. 다만 전월(7.6%)보다는상승폭이 0.7%p 축소됐다.

서비스물가는 전년 대비 3.7%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1.0% 상승에 그쳤지만, 개인서비스가 5.6% 오르며 상승을 주도했다.

자주 구매하는 144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3.2% 상승했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55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5%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석유류 제외지수) 4.3% 상승률을보였다. 지난 4(4.6%)보다는 소폭하락했지만, 13개월 연속 4%대를 웃돌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넘어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보다 3.9% 올랐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국제유가, 환율, 국제 원자재 가격 흐름에 따라 상방요인이 있을 수도 있다면서도전반적으로 기저효과가 있고, 특이요인이 없으면 당분간 물가는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홍예지 기자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기 기사

최근 댓글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