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류 가격 하락 등으로 2월 물가상승률이 4.8%를 기록했다. 10개월 만에 4%대 둔화다. 하지만 상수도 요금이 오르면서 전기·가스·수도는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110.38(2020년 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 이는 전월(1월) 상승률보다0.4%p 낮은 것이다. 물가상승률 4%대는 지난해 4월(4.8%) 이후 10개월 만이다. 물가는5월부터 5~6%대를 지속해왔다. 물가상승세는 지난해 7월(6.3%) 최고치를 찍고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유가 안정세로 석유류는 1.1% 하락했다. 석유류 가격이 전년동월 대비 하락한 것은2021년 2월(-6.3%) 이후 2년 만의 기록이다.
반면 공공요금 등은 가파른 인상을 이어가고 있다. 전기·가스·수도는 28.4% 올라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였다.
이는 지난달 전기·가스 요금은 변동이 없었지만,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상수도 요금을 올린데 따른 것이다. 또 2월 서울·대구 등 택시요금 인상도 영향을 미쳤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일부 지자체에서 상수도 요금을 올린 것이 영향을 미치면서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이번에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임광복 이창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