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경상수지가 8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년만에 첫 적자다. 배당이 몰리면서 ‘4월 적자‘가 나타났지만 5월에는 흑자 전환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4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4월 경상수지는 8000만달러 적자로 전년동월 1억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한 것보다 2억6000만달러 감소해적자 전환했다. 지난 2020년 4월 40억2000만달러 적자 이후 24개월만에 적자다. 전년동월 수출호조에 3년만에 ‘4월 흑자‘를 나타냈지만 올해는 다시 4월 적자가 나타났다.
4월의 경우 12월 결산법인인 국내 주요기업들의 외국인 투자자 배당 지급이 집중된다.
김영환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부장은 “5월의 경우에는 통관기준 수출입 차가 적자를기록했지만 국제수지 편제시 선박이나 운임, 운임, 해외생산수출 등의 조정을 거치면 적자가 이어진다고 보기는 어렵고 서비스수지가 운송수지가 개선되면서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있는 것도 고려해야할 것으로 보인다”며 “4월 계절적인 배당요인이 5월에는 완화돼 다시흑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앞서 한은 조사국은 2022년 연간 500억달러 흑자를 전망했다. 김 부장은 “월평균 43억4000만달러 흑자를 보여야 연 500억달러를 달성할 수 있다“며 “앞으로의 5월 유가 등여러 요인을 보고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출과 수입의 차이인 상품수지는 29억5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흑자폭이 전년동월(49억5000만달러)보다 20억달러 줄었다.
수출이 589억3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동월(530억달러) 대비 59억3000만달러(11.2%) 증가했다. 석유제품,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이 호조를 보이며 전년동월대비 18개월연속 증가했다. 4월 통관수출 기준 석유제품과 반도체가 각각 전년동월대비 73.2%, 15/6% 증가했다.
수입은 559억8000만달러로 전년동월(480억5000만달러)보다 79억3000만달러(16.5%) 증가했다. 원자재 수입이 급증하면서 16개월 연속 증가했다. 4월 통관수입 기준가스(+107.3%), 석탄(+148.2%), 원유(+78.4%) 등 원자재 수입이 전년동월대비37.8%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5억7000만달러 흑자로 전년동월 1억3000만달러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 운송수지가 17억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전년동월(6억5000만달러)보다 흑자폭이 11억1000만달러 확대했다. 수출화물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데 다른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인 본원소득수지는 32억5000만 달러 적자로전년동월대비 적자폭이 6억7000만 달러 줄었다. 계절적 배당지급에 따른 것으로 배당소득 수지는 38억2000만 달러 적자를 적자를 기록했다.
파이낸셜뉴스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