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동자가 잇따라 사망하면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대책위)에 따르면 올해 과로사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택배기사는 모두 9명이다.
지난 12일에는 한진택배에서 근무하던 김모씨가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대책위에 따르면 김씨는 숨지기 나흘 전인 이달 8일 새벽 4시 28분에 동료에게 ‘집에 가면 5시인데 밥 먹고 씻고 바로터미널 가면 한숨도 못 자고 또 물건정리(분류작업)를 해야 한다. 너무 힘들다‘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대책위는 김씨에 대해 평소 지병이 없다고 주장했으나, 한진 택배는 김씨가 평소 지병이 있었으며배송량도 200개 내외로 적은 편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책위는 김씨가 추석 연휴 전주에 하루 200∼300개를 배송했고, 한진택배 노동자가 200개를 배송하는 시간은 CJ대한통운 택배기사가 300∼400개 물량을 소화하는 시간과 비슷하다고 반박했다. 한진택배는 CJ대한통운보다 1명이 담당하는 배송 구역이 넓기 때문이다.
지난달 대책위는 택배기사의 주 평균 노동시간이 71.3시간이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과로사 인정 기준은 ‘직전 3개월 주 60시간 이상 노동‘ 혹은 ‘직전 1개월 주 64시간 이상 노동‘이다. 택비기사의 노동시간이 과로사 인정 기준을 훌쩍 넘긴 셈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택배기사들은 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달 17일 ‘분류 작업‘에 추가 인원을 투입해 줄 것을 요구하며 파업을 선언했다. 다음날 정부와 택배사는 2067명의 분류작업 인력을 투입하겠다고 밝혔고, 택배노동자들은 파업 선언을 철회했다.
그러나 분류작업에 추가 투입된 인력은 당초 발표의 20%도 되지 않는 363명에 그쳤다고 대책위는 주장했다.
대책위는 정부와 택배노동사가 택배노동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책위는 지난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진 택배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이은 사망 사건에도 왜 이런 현실이 개선되지 않는지 절박한 심정“이라며 “택배 노동자들이 이렇게 계속 사망하는데 그냥 놔둘 것인가“이라고 대책을 촉구했다.
한편 ‘택배기사님들을 응원하는 시민모임‘과 참여연대·민생경제연구소 등은 광화문광장에서 ‘택배소비자 기자회견‘을 열고 과로사 진상규명과 최근 CJ대한통운 등에서 나타난 산재보험 적용 제외행태에 대한 업계 전수조사를 요구했다.
파이낸셜뉴스 윤홍집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