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年 12月 月 05 日 火曜日 22:10 pm
spot_img
ホーム메인뉴스'관리형' 애플, '시총 2조달러 클럽' 열었다

‘관리형’ 애플, ‘시총 2조달러 클럽’ 열었다

애플의 시가총액이 19일(이하 현지시간) 마침내 2조달러를 돌파했다. 시총이 2조달러에 도달한 미국 업체는 애플이 처음이다. 2018년 8월 1조달러 돌파 뒤 2년만에 시총이 2배로 뛰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 주가는 이날 시총 2조달러 달성에 필요한 467.77달러를 훌쩍 넘어섰다.

장중 최대 1.2% 오르며 467.97달러까지 올랐다.

비록 마감가는 전일비 0.1% 오른 462.83달러로 떨어져 마감가 기준으로는 2조달러 시총에 못미쳤지만 새로운 역사를 써냈다.

지난달 말 세계 최대 상장사였던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업체 사우디아람코를 제치고 시총 기준 세계 최대 업체가 된지 보름여 지나 또 다시 신기록을 세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금융시장 붕괴로 애플 주가가 저점을 기록한 3월 23일 이후 2배 넘게 뛰었다.

2011년 고 스티브 잡스 애플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의 뒤를 이어 애플 지휘봉을 잡은 팀 쿡의 경영이 애플을 탄탄한 궤도로 올려 놓았음이 입증됐다.

‘혁신가’였던 잡스와 달리 쿡 CEO는 ‘관리자’의 특성을 드러내며 애플의 내실을 다지는데 주력했다.

쿡은 “혁신이 없다”는 비판 속에서도 앱스토어부터 애플 뮤직에 이르기까지 서비스 부문을 강화하고,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등 애플의 성장동력을 다변화하는데 성공했다.

애플은 코로나19 위기로 고전할 것이란 예상을 깨고 2·4분기 매출이 전년동기비 11% 급증하며 600억달러에 육박했고, 순익은 112억5000만달러로 뛰는 깜짝실적을 공개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재구축하는데도 성공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애플이 문을 연 ‘시총2조달러 클럽’에는 조만간 다른 기술 업체들이 속속 합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코로나19 이후 확실한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이 시총 2조달러 클럽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한 동안은 애플의 독주가 불가피해보인다.

아마존과 MS는 현재 시총이 약 1조6000억달러, 구글 모기업인 알파벳은 1조달러 수준이다.

페이스북 시총은 7600억달러로 1조달러에도 못미치고 있다.

한편 기술주와 나머지 업종간 격차는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다.

애플을 포함한 이들 5대 대형 기술주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년전 12%에서 지난 7월말 현재 25% 수준으로 급격히 뛰었다.

기술주 움직임에 따라 전체 주가 지수가 흔들리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송경재 기자
저작권자(C)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기 기사

최근 댓글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