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 우려 완화로 주가가 상승하면서 9월 소비자심리지수가 반등했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9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9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6.9를 기록해 한 달 전보다 4.4포인트 상승했다.
CCSI는 가계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한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 지수를 표준화한 것이다. 기준치 100 밑으로 떨어졌다는 것은 과거(2003년 1월~지난해 12월) 평균치보다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소비자가 낙관적으로 보는 소비자보다 많다는 얘기다.
CCSI는 올해 4월 101.6까지 오른 다음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지난 8월에는 92.5로 2017년 1월(92.4) 2년 7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지기도 했다.
한은은 “미•중 무역분쟁 우려 완화와 주가 상승, 국내외 경기부양 정책 등의 영향으로 경기 및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달 지수에는 조사기간의 문제로 최근 확산 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관련 심리는 포함되지 않았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항목 모두 상승했다.
큰 폭으로 상상흔 것은 향후경기전망 CSI로 전월대비 9포인트 상승한 75를 나타냈다. 이어 현재경기판단 CSI(68)가 5포인트 올랐다. 생활형편전망 CSI(92)와 가계수입전망 CSI(97)은 각각 3포인트씩 상승했다. 현재생활형편 CSI(92)은 2포인트, 소비지출전망 CSI(106)은 1포인트 상승했다.
기여도 측면으로 보면 가계수입전망 CSI가 1.2포인트로 가장 높았고 이어 향후경기전망 CSI가 1.1포인트, 생활형편전망 CSI 0.7포인트, 현재경기판단 CSI 0.5포인트, 현재생활형편 CSI 0.5포인트, 소비지출전망 CSI 0.4포인트 순이었다.
물가수준전망 CSI(134)는 8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04%를 기록한 영향으로 전월과 비교해 6포인트나 떨어졌다.
이에 따라 지난 1년 동안 소비자물가가 얼마나 오른 것 같은지를 나타내는 물가인식은 1.9%로 전월대비 0.2%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통계 편제를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가장 낮았다. 기대 인플레이션율도 1.8%로 2002년 2월 통계 작성 이래 최저를 보였다.
취업기회전망 CSI는 경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다소 완화된 가운데 고용지표 개선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5포인트 상승한 79를 기록했다.
최근 서울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하면서 부동산 가격에 대한 전망도 상승 흐름이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2포인트 오른 109를 나타냈다. 9•13 부동산 대책이 나온 직후인 지난해 10월(114) 이후 가장 높았다.
파이낸셜뉴스 예병정 기자
저작권자(C)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