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가 3.4% 오르며 3개월 만에 3%대로 재진입했다. 상승폭은 지난 4월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폭염·폭우 등 영향으로 농산물 물가가 많이 올랐고, 석유류 물가도 작년 높은 물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달보다 상승 폭을 키우는 원인이 됐다.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은 20% 넘게 급등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112.33(2020=100)으로 1년 전보다 3.4% 올랐다. 이는 지난 4월(3.7%) 이후 4개월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전달인 7월 상승률과 비교하면 1.1%p 높은 수치다.
물가상승률은 지난 2월부터 둔화하다가 7월에 2.3%로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석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서게 됐다.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은 1년 전보다 5.4% 올라 전체 물가를 0.26%포인트(p) 끌어올렸다. 사과가 30.5% 올라 상승 폭이 컸고, 쌀은 7.8% 상승했다. 수박(18.6%), 복숭아(23.8%), 고구마(22.0%), 고춧가루(9.3%) 등도 상승폭이 컸다.
석유류는 11.0% 하락했다. 7월까지 계속된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달(-25.9%)보다하락 폭이 대폭 축소됐다.
통계청은 국제 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하락폭이 둔화한 것이 이달 3%대 재진입에 영향을미쳤다고 분석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통계심의관은 “물가 상승폭이 2.3%에서 3.4%되는데 석유류가 80%를 차지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서비스 물가는 전년 대비 3.0% 올랐다. 보험서비스료(12.9%), 공동주택관리비(4.9%) 등이다.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은 21.1% 상승률을 나타냈다. 전기료(25%), 도시가스(21.4%) 등이 높았다.
구매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9% 상승했다. 올해 3월(4.4%) 이후 최대 폭이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 물가를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6% 올랐다. 이는 지난 3월(7.3%) 이후가장 높은 수준이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3.9% 상승했다. 근원물가는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지난달과 같은3.3% 상승률을 보였다.
파이낸셜뉴스 홍예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