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가 내년 총선 출마 여부와 관해 “고민을 많이 하며 준비하고 있다”라고 16일 밝혔다.
이준석 전 대표는 이날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서 열린 초청 강연 ‘대한민국 정치와 정치개혁: 거부할 수 없는 미래’에서 이같이 말한 뒤 “나가면 당선돼야죠, 이번에는”이라고 덧붙였다.
강연에서 이 전 대표는 금태섭 전 의원과 김종인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주도하는이른바 ‘제3지대’ 합류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창당 이유를) ‘거대 양당 획일화 타파’라고 하면, (그런) 틀에 박힌 정당이면 안 하는 게 낫다”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의 최근 외교 행보·정책에 대해서는 “기존 외교와 다른 이질적 선택을 하는게 나쁘진 않다”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이 전 대표는 “프로토콜을 너무 버리기 때문에문제가 되고 있다. 프로토콜은 밖에서 보여지는 국격에 해당하는 것인데, 빨리 자리 잡아야한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대일 외교 과정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오염처리수’로 표현하는 등 여러 논란이 불거진 것을 예로 들며 “일본이 별로 신경도 안 쓰는데 먼저 설설 기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도) 프로토콜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최근 윤 대통령이 미국을 국빈 방문한 것을 두고는 “하버드 고집했다는 이야기, 영어 연설에 집착한 것 등(을 고려하면) 국내 정치적 목적이 강했던 것”이라고 했다. 핵 확장억제 강화 내용을 담은 ‘워싱턴 선언’을 두고는 “(한미 양국 간) 등가교환이 아니라는 느낌을 국민들이 받는 것 같다”라고 주장했다.
강연에 참석한 한 학생이 정당의 인재 영입이 기대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하자 이 전 대표는 “전문가 정치는 안 될 것”이라며 “수사전문가가 대통령 되면 어떨지 생각해본 적 있으세요? 경험하고 계시죠”라고 답했다.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 출신이라는 점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할 것인지에 대한질문을 받자 “무조건 가실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그는 “김재원·태영호 (최고위원의) 행보로 과거의 노선을 버리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전 대표는 내년 총선 전망에 대해 “(당 지지율이) 30%에서 왔다 갔다 하는 것에 일희일비하고 박수치고 이런 것 자체가 참 웃긴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파이낸셜뉴스 박상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