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年 6月 月 01 日 木曜日 11:11 am
spot_img
ホーム관동/관서관서 뉴스 세계정세와 평화의 방향주제로 열려

[2022 히로시마한국포럼] 세계정세와 평화의 방향주제로 열려

尹대통령 시대정신과 포럼 주제 일치
한일간 현안뿐 아니라 동북아정세 속에서 한일관계 생각해야
핵전쟁은 이상 과거의 문제 아니야, 현재진행중인 현실 문제
비핵화 없다선언, 북한 핵문제 국면

주히로시마대한민국총영사관과 히로시마시립대학 히로시마평화연구소가 공동주최하는히로시마한국포럼 2022 세계 정세와 평화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16 일본 히로시마 리가로얄호텔에서 열렸다.

임시흥 주히로시마대한민국총영사관 총영사는 축사에서지난 광복절 기념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언급한앞으로의 시대적 사명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한 국가들이 연대해 자유와 인권에 대한 위협에 함께 대항하고 세계시민의 자유와 평화, 그리고 번영을 이뤄내는 이번 포럼의 주제가 일치한다비단 한국뿐 아니라 세계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직면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총영사는 이어 “2016년부터 시작해 동안 한일관계를 주로 다뤄 왔으나양국 간의 갖가지 현안만을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세계정세, 특히 동북아정세 속에서 한일관계를 생각해야 한다 이번 포럼의 취지를 전했다.

포럼의 공동주최자 히로시마대학 히로시마평화연구소 오시바 소장은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핵무기 사용의 가능성을 보아, 피폭지인 히로시마에서는 핵무기 사용에 대해 그냥 지나칠 없다면서핵전쟁의 가능성이 이상 과거문제, 비현실적인 상황이 아닌 현재 진행 중인 현실적인 문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우크라이나의 전쟁과 핵무기 사용이 국제질서,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인식해야 한다일본과 한국이 협력하고 국제질서와 평화 형성, 유지를 위해 함께 생각해 국제 질서 안에서 우리들의 역할과행동에 대해 논의하기를 바란다 말했다.

주히로시마대한민국총영사관과 히로시마시립대학 히로시마평화연구소가 공동 주최로 2022 히로시마한국포럼을 열었다. 사진=백수정 기자

기조 보고에서는 깃카와 히로시마시립대학 교수가 우크라이나 전쟁이후의국제질서와 평화의 방향에 대해 ‘2022 세계 정세와 평화의 방향 주제로 이종원 와세다대학원 교수가미국 바이든 정권의 동아시아 정책과 한반도‘, 진창수 세종연구소일본연구센터장이한일관계의 현황과 관계 개선의 방안‘, 조진구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가최근 국제정세와 북한문제:핵독트린과 남북관계 대해 각각 발표했다.

이번 포럼에서 주목받은 북한 문제를 주제로 발표한 조진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남북 모두 통일보다는 공존, 나아가 남북관계를 보통의 국가 관계로 인식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설명했다.

남북 간의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남북관계를 대적관계로 규정하는 북한과 북한 정권을 적으로 보는 윤석열 정부가 대화의 기회를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교수의 진단이다.

조진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세계정세와 평화의 방향을 주제로 2022 히로시마한국포럼이 열렸다. 강연을 듣고 있는 참가자들. 사진=백수정 기자

미연합훈련 기간 북한의 군사적 공세가 지속되고 긴장 고도 가능성이 크다면서특히 대통령은 담대한 구상을 통해 북한 비핵화 협상에 유도하려고하지만 김정은 위원장은 9 8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국가핵무력정책의 법제화를 담대한 정치적 결단이라면서 먼저 핵포기, 비핵화란 없다고 선언해북한 핵문제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우려했다.

밖에동아시아 지역내 협력과 전망 주제로 오사와분고 치바과학대학위기관리학부 교수가한반도유래 문화재를 통한 일한협력일한학생교류 보고발표했으며, 오키무라 타다시 히로시마평화연구소 교수는우크라이나 전쟁과일한의 에너지 문제 발표했다.

파이낸셜뉴스 일본 관서지국 백수정 기자 sjbaek@fnnews.com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기 기사

최근 댓글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