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年 4月 月 19 日 金曜日 14:24 pm
spot_img
ホーム사회/문화사회출산율 0.81명 'OECD 꼴찌'… 인구 5만7300명 줄었다

출산율 0.81명 ‘OECD 꼴찌’… 인구 5만7300명 줄었다

지난 출생이 사망보다 57300 적었다. 2020 시작된 인구 자연감소가 2년째 이어지며 감소폭을 확대했다.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를 기록했고평균인 1.61명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사망자 수도 고령화에다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사망자 ) 6.2명을 기록했다. 조사망률이 6명을 넘어선 것은 1983(6.4)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사망자 수는 32만명에 육박,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1이후 51 만에 가장 많았다. 23 통계청은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2021 인구동향조사출생·사망통계‘(잠정) 발표했다.

합계출산율 OECD ‘부동의 꼴찌

지난해 출생아 수는 26500명으로 전년 대비 11800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전년 대비 0.03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한다.

2019 기준 OECD 38 회원국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1.61명이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유일하게 1명을 밑도는 국가이자 비교대상이 없는 꼴찌다. 올해는 합계출산율이 0.7명대로 떨어질것이란 전망까지 제기된다.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전년 대비 0.2 상승했다. 35 미만 연령층의 출산율은 감소했지만 35 이상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 출산도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결혼생활 2 안의 출생아 수는 1만명(-10.7%), 2~5 안은 4000(-4.1%) 감소했지만 5 이상은 1000(1.8%) 증가했다. 종합하면 적게, 그리고 늦게 낳는다는 것이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출산연령인 30 여성 인구와 혼인건수가 감소한 것이 누적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과장은 “(기대요인은) 출생아 수가 70만명으로 회복됐던1991~1995년생이 출산연령 인구로 새로 진입하면 향후 출생아 수에 긍정적인 요인이 있다 덧붙였다.

사망자 1970 이후 최대

사망자수는 317800명으로 전년 대비 12800(4.2%) 증가했다. 조사망률은 6.2명으로전년 대비 0.3 증가했다.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조사망률이 6명을 넘어선 것이다. 1983 이후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고령화 추세에다 코로나 확산세까지 겹치면서 사망자 수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0 이후 51 만에 가장 많았다. 과장은인구 고령화와 코로나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사망자 조사 주목되는 부분은 60 남자의 사망률이 여자보다 2.8 높았다. 60 남자의 조사망률은 9.6명이었다. 이는 같은 연령대 여자가 3.4명인 것에 비해 2.8배나 높은 것이다.

인구 자연감소폭 확대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으면서 인구는 자연감소세를 이어갔다. 출생에서 사망을 인원은 57300명이다. 이만큼 자연감소했다는 의미다. 2020 처음으로 32600명이 감소한 2년째다.

지역별로는 경기, 세종, 울산이 각각 8700, 2200, 600 자연증가했고 경북(-1900), 전남(-9100) 14 시도는 자연감소했다. 서울 인구도 3400 자연감소했다.

인구 자연감소는 출생아 수가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2020∼2070 장래인구추계에서 2070 인구 자연감소 규모가 51만명(중위 추계 기준)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파이낸셜뉴스 김규성 기자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기 기사

최근 댓글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