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年 5月 月 29 日 月曜日 7:49 am
spot_img
ホーム정치/경제경제조선 빅3, 연간 목표 83% 달성...신조선가 7년만에 '최고'

조선 빅3, 연간 목표 83% 달성…신조선가 7년만에 ‘최고’

국내 조선3′(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올해 연간 수주목표의 83% 달성했다. 다양한 선종의 선박과 해양플랜트의 발주가 잇따르며 연간 수주목표의 추가 달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신조선가(선박을 새로 건조하는 가격) 7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향후 실적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14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은 버뮤다 유럽 소재 선사와 9112억원 규모의 초대형 LNG(액화천연가스)운반선 4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현재까지 163(해양 2 포함), 148 달러를 수주해 연간 목표 149 달러의 99% 달성했다. 올해가 절반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수주목표를 대부분 채웠다.

대우조선해양도 카타르 NOC사로부터 7253억원 규모의 고정식 원유생산설비(Fixed Platform) 수주했다. 지난 6 11000억원 규모의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FPSO) 수주에 이어 한달 만에 해양설비를 추가 수주했다. 한해에 복수의 해양설비 수주에 성공한 것은2013 이후 8년만이다. 이번 수주로 대우조선해양은 40(해양 2 포함), 613000 달러를 수주해 연간 목표 77 달러의 80% 달성했다.

삼성중공업 역시 현재까지 LNG운반선 6, 컨테이너선 38, 원유운반선 7 51(65억달러) 수주하며 연간 목표 91 달러의 71% 달성했다.

이로써 조선 3사는 연간 목표의 83% 달성한 만큼 올해 수주목표를 추가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예상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글로벌 선주들로부터 다양한 선종에서 선박 발주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조선사들의 선박 수주는 하반기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말했다.

해운업 호황과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선박 발주가 늘어나는 가운데 신조선가도 조선업 불황 이전 수준을 회복하고 있다.

9 기준 클락슨 신조선가 지수는 전주 보다 0.89포인트 상승한 139.75포인트를 기록했다. 2014 7(139포인트) 이후 7 만에 140포인트 선까지 올랐다. 신조선가지수는 2014 이후 조선업 불황에 2016 122포인트까지 하락한 있다. 국제해사기구(IMO) 환경 규제로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해운 운임 상승으로 컨테이너선 발주가 급증한 것이 신조선가 상승세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당분간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가 늘며 신조선가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광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한국 조선사가 벌써 20척의 LNG(액화천연가스) 선박을 수주한 상황에서 그리스 선주들의 투기 교체발주가 시작됐다면서신조선가지수는 조선업 호황기인 2008전후 190포인트 사이에서 추가적인 상승이 예상된다 밝혔다. 이어올해 강재가 인상에 따른실적 부진보다 향후 신조선가 상승에 초첨을 맞출 필요가 있다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김미정 기자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기 기사

최근 댓글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