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과 부산시장을 뽑는 4·7 재보궐 선거 본투표의 날이 밝았다.
총선이나 대선, 전국 동시 지방선거가 아닌 대도시 광역단체 1, 2위 수장을 새로 뽑는 비교적 작은보궐선거지만 정치적 의미 만큼은 매머드급으로 불린다.
내년 대통령 선거는 물론 당장 선거 결과로 정국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다. 특히 문재인 정부 후반기에 치뤄지는 만큼 남은 기간 국정동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심거리다. 또 여야 지도부의 운명은 물론 올해 하반기 집중된 각당의 대선주자 경선 구도도 이번 선거승패로 크게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이슈도 만만치 않은 선거였다. 한국주택토지공사(LH) 직원들의 투기 사태를 촉매제로 문재인 정부 지난 4년간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가 최대 이슈로 꼽히며 도마위에 올랐다. 여여가 모든 것을 제처두고 재보궐 선거를 대선급으로 여기며 막판까지 사생결단식의 대결을 이어온 것도 이때문이다.
이번 선거는 서울, 부산 시장을 포함한 자치단체장 4명과 지방의원 17명을 뽑는다. 그러나 유권자숫자만 봐도 결코 작은 규모의 선거가 아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서울(842만5869명), 부산(293만6301명)을 비롯해 이번 선거에 투표하는 유권자가 1216만1624명이다. 전체 유권자의 3분에 1에 가까운 숫자가 재보선의 운명의키를 쥐고 향후 선택을 통해 여야의 희비를 가르게 된다.
본투표 전날인 6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도 후보들까지 혼신의 힘을 다해 공식선거운동 종료시점까지 전방위로 유세를 펼쳤다.
민주당 등 여권은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친문 리더십‘이 더욱 공고해질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러 악재에도 판을 뒤집는다면, ‘정권재창출‘의 발판도 마련할 수 있다는 평가다.
반면 선거에서 패하게 되면 당 전반에 ‘쇄신과 혁신‘ 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오세훈 후보가 서울시장 보궐에서 승리한다면 ‘정권교체론‘에 힘이 붙고 국민의힘 중심 야권 개편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히 난파 직전의 당을 수습하고 재보궐 승리를 이끈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역할론에 무게가실릴 것으로 보인다.
당장 눈앞에 보이는 여야 후보의 희비 뿐 아니라 향후 정국 주도권은 물론 차기 대선의 밑그림까지, 이번 선거에 내포된 의미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에 따라 이번 선거는 유권자의 선택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는 의미에 이견은 없다.
파이낸셜뉴스 송주용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