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회담에서는 무역, 군사, 국방 무기 구입에 대해 논의하고 싶다.”
주요20개국(G20)정상회의차 일본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 아베신조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무역협상 및 방위비 분담 문제 등 ‘돈 문제’를 전면에 내세우며, 일본을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G20정상회의 회의장인 ‘인덱스 오사카’에서 열린 이번 회담에서 미국의 대일무역적자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의 미국 진출에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한다”는 말도 곁들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일본 방문에 앞서 양국 관계의 기초이자 ‘성역’인 미일 안보조약의 폐기 가능성까지 언급하는 등 안보를 지렛대 삼아 대일 통상압력을 강화할 것임을 예고했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만남에서 대일 무역적자를 문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을 아베 총리에게 재차 밝혔다고 보도했다. 다만, 미일 안보조약에 대한 발언은 언급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는 모두 발언에서 “빈번하게 미일 정상이 서로 왕래하는 것은 강고한 미일 동맹의 증거”라는 말로 안보동맹으로서의 양국 관계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3개월 동안 일본 기업이 미국에서 16건을 투자했음을 강조하며, 일본 기업들의 미국 경제 기여를 설명했다.
회담 후 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큰 거래를 발표할 것”이라며 “너무 큰 거래다”라고 밝히며, 아베 총리를 향해 미일 무역협상이 조기에 타결돼야 한다는 점을 거듭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도쿄에서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의 극진한 환대를 받고도, 미일 무역협상 시한을 사실상 8월로 제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런 시한 제시에 당시 일본 정부는 국내적으로 난처한 상황에 놓였었다. 마이니치신문은 미일 양국이 조기에 양국 무역협상에 성과를 달성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회담에서 양 정상은 긴밀한 협의를 통해 G20정상회의를 성공시키자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며 “양국무역협상이 윈-윈 형태로 조기에 타결되도록 신뢰를 기초로 교섭해가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런 가운데 아베 총리는 일본인 납치자 문제 해결을 위해 북일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미국의 협조를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일 정상회담 추진에 대해 “전면적으로 지지한다”는 말로 화답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회담은 이번이 12번째다. 두 정상은 지난 4월 미국 워싱턴에서, 5월 도쿄에서 각각 정상회담을 했다.
두 정상은 미일 정상 회담에 이어 곧바로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까지 합세한 미일인도 3자간 정상회담을 열었다.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은 것과 대비된다. 아베 총리는 회담 모두 발언에서 “3국의 파트너십은 지역 안보와 번영의 초석”이라고 강조했으며, 모디 총리는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의 변화와 안정을 실현하고 싶다”고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저작권자(C)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