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의 스시 ‘오마카세’ 열풍에 대해 일본의 한 매체가 “사치, 허세의 상징”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주간지 슈칸신초의 인터넷판 데일리신초는 12일(현지시간) “일본의 ‘오마카세’가 한국에서 유행”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오마카세는 한국 젊은이들의 사치의 상징”이라고보도했다.
해당 매체는 “첫 데이트나 생일, 크리스마스 등 기념일에는 인기 있는 오마카세 레스토랑을 예약한다”고 언급했다.
해당 기사를 쓴 기자는 서울의 한 오마카세 레스토랑을 방문한 뒤 “(손님의) 20%가 사업관계, 나머지 80%가 20~30대 커플”이라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사진과 영상을 올려 다른 사람에게 자랑까지 하는 것까지가 세트”라고 전했다. 오마카세 레스토랑이SNS 자랑 용도로 활용된다는 주장이다.
해당 매체는 한국의 오마카세 문화가 남성이 여성과 만나는 수단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슈칸신초는 “한국에서는 데이트 음식값을 반드시 남자가 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다”며“여성 앞에서는 수입이 많고 센스 있는 남자인 척 하기 위해 어쩔 수 없다는 게 속내”라고전했다.
최근 이처럼 일본 언론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소비 풍조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보도가 늘고있다.
지난달 일본 산케이신문 계열의 타블로이드지 유칸후지는 “한국의 젊은이들은 컵라면으로 저녁을 때우면서도 에르메스 빈 상자를 배경으로 가짜 롤렉스 손목시계를 찬 사진을 찍는다”고 비판적으로 보도한 바 있다.
해당 기자는 이 글에서 “(한국은)예나 지금이나 ‘외화내빈’의 나라”라며 “이씨 왕조(조선) 혹은 고려 시대 양반이 외화내빈이란 사자성어를 만든 건 당시 내실은 어떻든 겉만 좋게 꾸미면 된다는 문화가 온 나라에 만연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전했다.
파이낸셜뉴스 박상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