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9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한일 양국관계 개선을 보다 가속화하기 위해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길 기원한다“는 내용의 구두 친서를 보냈다. 기시다 총리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등 여러 공통의 가치를 기반으로 해서 미래를 위해한일 양국 관계를 발전시키자“고 화답했다. 다만, 한일정상회담 개최는 양국 간 최대 현안인 징용 배상 문제 해결에 대한 어느 정도의 윤곽이 잡혀야 가능한 문제로 파악된다.
방일 이틀째인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2시15분께부터 약 20분간 일본 도쿄 지요다구 소재 일본 총리관저에서 기시다 총리를 예방하고 이런 내용의 윤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A4용지 2장 분량의 구두 메시지에서 지난달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정상회의 참석 당시 기시다 총리와의 만남을언급하며 “(기시다 총리가)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한일 양국 우호를 위해 함께 노력해나갈 것으로 확신했다“며 긴밀히 소통·협력해 가자고 당부했다. 박 장관은 기시다 총리가“시종일관 매우 진지한 태도로, 윤 대통령의 메시지를 경청했다“고 면담장의 분위기를 압축해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또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사망에 대해서도 애도의 뜻을 표한 뒤, “기시다 총리의리더십 하에 일본 국민들이 조속히 일상으로 회복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도쿄 자민당 당사에 마련된 아베 전 총리의 빈소를 찾아 조문을 했다.
박 장관은 “이번 일본 방문을 통해 정상 간 셔틀외교가 복원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기를기대한다“면서 “(기시다 총리에게)두 정상이 편리한 시기에 다시 만나서 새로운 한일관계를 만들어가기 위한 좋은 대화를 나누길 바란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향후 한일 정상회담 개최 전망에 대해 “일정이 확정된 것은 없으나, 여러가지 현안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의 윤곽이 잡히고, 한일양국 간 공감대가 형성되면 두 정상 간 만남이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일 간 최대 현안인 징용 배상 문제의 해결방안이 우선 마련돼야, 정상회담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박 장관은 전날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의 면담에 이어 이날 일본 총리 예방에서도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에 대해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이 강제 매각(현금화)되기 전, 바람직한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밝히고, “이를 위해 일본 측에서도 성의있게 호응해주길기대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에 대한 기시다 총리의 반응에 대해 박 장관은 “경청했다“고만 설명했다.
박 장관은 이번 방일 기간, 현재 한국 내에서 징용 배상과 관련한 민관협의회에서 나온 각종 아이디어(해결책)를 일본 측과 공유했다.
박 장관은 “징용 피해자 측이 생각하는 입장에 대해 일본 측에서 설명하고, 이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이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뜻을 일본 측에 전달했으며, 일본 측은 민관협의회 논의 방향에 대한 우리 측의 설명에 상당히 평가하는 반응이 있었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일한의원연맹(한일의원연맹의 상대조직) 누카가 후쿠시로 회장을 만난 데 이어 모테기 도시미쓰 자민당 간사장과도 면담을 했다. 박 장관은 모테기 간사장에대해 “미국 유학시절 대학(하버드대)선배이고, 외무대신 역시 선배라서, 격의없이 솔직하게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지혜와 고견을 줄 것을 당부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한일간 솔직한 대화를 위해 외무장관 간, 또 정상 간 셔틀외교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번 방일은 한일이 본격적인 대화를 위한 셔틀외교의 출발점“이러고 자평했다.
한편 박 장관은 한일 무사증(무비자)재개 논의에 대해선 “인적교류 활성화를 위해 아주 필요한 조치라는 것을 일본 측에 설명하고, 이에 대해 한일이 긴밀히 협의해 가기로 했다“고말했다.
파이낸셜뉴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