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年 12月 月 07 日 木曜日 13:34 pm
spot_img
ホーム정치/경제경제'에그'머니나, 또 '금(金)란'되나..계란 한판 다시 7000원대 찍었다

‘에그’머니나, 또 ‘금(金)란’되나..계란 한판 다시 7000원대 찍었다

계란 가격이 8개월여 만에 다시 7000원대로 올라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곡물 가격이 급등하자 사료 가격도 상승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4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2 특란 30(1) 평균 소비자 판매 가격은7010원으로 1개월 (6358) 대비 10.3% 올랐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광주·세종·전남·경남이 7295원으로 가장 비쌌고, 충남이 6732원으로 가장 낮았다.

계란 평균 가격은 지난 17(7019)부터 엿새째 7000원대를 기록했다. 달걀 값이7000원을 넘긴 것은 축산물품질평가원 통계 기준으로 지난해 84(7038) 이후 8개월여 만이다.

업계에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사료비가 오른 데다 대형마트의 할인행사가 중단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료의 원료가 되는 국제 곡물 가격은 2020 하반기부터 상승세를 보이다가 주요 수출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 전쟁이 발발하면서 빠르게 뛰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가 전보다 1분기 5.8%(추정치) 뛰었고 2분기에는 13.6%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 여건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 1 기준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70428마리로 3개월 전보다 3% 줄었다.

지난 겨울 조류 인플루엔자 때문에 산란계 120만마리 이상이 살처분됐고 달걀 가격이 어느 정도 안정화하자 농가에서 미뤄왔던 노계(달걀을 오래 낳은 ) 도태를 진행한 측면도있다는 통계청의 설명이다.

대표적인 서민 먹거리인 계란 가격이 오르면 밥상 물가·외식 물가를 밀어 올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계란과 함께 수입 농축수산물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따르면 지난 3 농축수산물 수입가격지수는 119.2(2015=100) 1 전보다 32.4%, 전월보다 5.9% 올랐다.

지난해 12(33.5%), 1(31.4%), 2(31.7%) 이어 달째 30% 상승률을 보였다.

품목별로는 농산물 수입가격지수가 34.6% 올랐고 축산물과 수산물 수입가격지수는 각각 37.7%, 11.4% 상승했다.

파이낸셜뉴스 김준석 기자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기 기사

최근 댓글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