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과 북을 잇는 통신연락선이 단절 13개월 만에 전격 복원됐다. 남북대화 재개의 신호탄으로 교착상태인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의 발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7일 브리핑을 통해 “남과 북은 7월 27일 오전 10시를 기해 그간단절되었던 남북 간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남북 통신연락선은 지난해 6월 9일북한이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 일방적으로 모든 연락 채널을 중단시키며 단절됐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이날 오전 “수뇌(정상)분들의 합의에 따라 북남(남북) 쌍방은 7월 27일 10시부터 모든 북남 통신연락선들을 재가동하는 조치를 취하였다“며 “남북관계의 개선과 발전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남북 간 5분 정도의 시간 차이가 있었지만 사실상 공동발표 형식을 취했다.
박 수석은 통신연락선 복원에 대해 “남북 양 정상은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하면서 남북 간 관계 회복 문제로 소통해 왔다“며 “이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단절되었던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양 정상은 남북 간에 하루속히 상호 신뢰를 회복하고 관계를 다시 진전시켜 나가자는 데 대해서도 뜻을 같이했다“며 “이번 남북 간 통신연락선의 복원은 앞으로 남북관계 개선과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신범철 경제사회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은 “북한 입장에선 경제난 그리고 외교적 고립 등을 탈피하기 위한 행보로 통신선을 복원한 것“이라며 “이것만으로 남북관계가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개선의 조짐이 보이는 것이라고 평가한다. 실질적인 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국이 북한을 설득하는 과제가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남북 정상 간 합의 과정에서 지난해 6월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대한 사과는 없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앞으로 협의해 나갈 문제“라고만 전했다.
파이낸셜뉴스 김호연 김나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