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가 내일 29일부터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소비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택배업체들은 택배대란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입장이지만 설 등을 앞두고 제때 택배를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소비자들의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28일 오늘 업계에 따르면 전체 5만여 명으로 추산되는 택배기사 중 택배노조 가입자는 5500여명수준이다. 전체 택배 기사의 약 11%다.
이들 중 우체국택배 소속이 2650여 명이고 1500여 명은 CJ대한통운 소속으로 알려졌다.
택배사들은 택배노조에 소속된 택배기사가 실제 파업에 돌입한다고 해도 택배 마비나 택배 배란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노조원이 많지 않은데다 택배사들이 설을 앞두고 임시 인력도 투입할 예정이라는 이유에서다.
또 오늘 택배파업을 막기 위한 합의도 열린다. 국회에서 택배노조와 택배회사, 관련 부처가 파업전 마지막 논의를 진행할 예정인 것이다. 하지만 노사의 입장 차이가 커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택배노조는 택배기사들의 과로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를 택배회사가 파기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홍창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