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총리관저 홈페이지 영상 캡쳐(http://www.kantei.go.jp/)
문 대통령, 관계개선 위해선 일본 수출규제 철회해야
일본 관방장관, 징용문제에 대한 ‘현명한 대응’ 요구한다는 입장 반복
일본 정부의 대변인격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7일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를 철회해야 한다고 지적한 것과 관련 “다른 나라 정상의 발언 하나하나에 코멘트하는 것은 삼가하겠다”면서도 징용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현명한 대응’을 계속 요구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스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문 대통령 신년사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여러 현안에 관한 우리나라(일본) 입장은 어떠한 변경도 하지 않고 계속해서 한국 측의 현명한 대응을 요구해 나가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스가 장관이 한국 측에 계속 요구하겠다는 ‘현명한 대응’이란 강제징용의 배상을 일본 기업, 일본 정부에 요구하는 것이 아닌, 한국 내에서 자체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징용 문제가 모두 해결됐다는 입장이다.
문 대통령은 앞서 이날 신년사에서 “(한·일)양국간 협력관계를 한층 미래지향적으로 진화시켜 가겠다”며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 조치를 철회한다면 양국 관계가 더욱 빠르게 발전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교도통신, NHK 등 일본 주요 언론은 문 대통령이 한일 갈등의 근본적 원인인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지만, 양국 관계 개선에 의욕을 나타낸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22일 일본의 수출규제 철회를 전제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OSIMIA·지소미아)를 조건부 연장했다. 이후 한·일 무역당국간 국장급 대화가 열리고, 반도체 소재 3개 수출규제 품목 가운데 포토 레지스트 1개 품목에 대해서만 일부 규제가 완화됐으나 현재까지 일본 정부의 첫 규제가 가해진 지난해 7월 이전으로 원상복귀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한편, 스가 장관은 전날 위성방송 BS후지와의 인터뷰에서도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가 한일청구권협정으로 모두 해결됐다는 기존 주장을 반복했다.
파이낸셜뉴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저작권자(C)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