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기준 청주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침수 사고로 사상자 24명(사망 14명·부상 10명)이 발생한 가운데, 청주시가 사고 당일인 지난 15일 시내버스 회사들에 통제 도로를 우회해 해당 지하차도를 이용하라고 통보한 것으로 드러났다.
청주시가 통보한 시점은 침수 사고가 발생한 지 약 9분이 지난 상황이었다.
18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전 8시 49분경 청주시 대중교통과는 단체 카카오톡 방을 통해 시내버스 업체들에게 우회 노선을 통보했다. 이때 안내된 노선에는 참사가 발생한 궁평2지하차도가 포함됐다.
당시 청주는 강내면에서 미호강을 건너 오송역으로 향하는 도로가 침수된 상황이었다. 청주시는 침수된 노선을 피하고자 이 같은 후속 조치를 지시했다.
그러나, 차선책으로 제시한 궁평2지하차도는 이미 9분 전부터 침수가 시작돼 소방 당국이구조 작업을 진행 중이었다.
이에 따라 지자체는 사고 예방과 사후 관리 두 부분에서 부족한 역량을 드러낸 셈이다.
청주시 한 버스회사 관계자는 “15일 오전 8시 50분경 궁평2지하차도 쪽으로 우회해서운행하라는 연락이 왔다. 청주시가 당시 사고가 있었는지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 같다“라고 매체에 알렸다.
이에 대해 청주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원노선이 침수됐다는 버스 기사들의 보고를 받고업체들과 우회하는 노선을 협의한 것“이라며 “다른 부서에서 전달받은 내용이 없어 지하차도가 침수됐다는 사실을 파악하지 못했다“라고 매체에 밝혔다.
청주시는 또 사고가 나기 불과 5분 전인 오전 8시 35분경 사고 지역에 대해 “저지대 침수위험이 있다“라는 재난 문자를 보낸 것으로도 알려졌다. “지하차도 침수로 차량 통행이 불가하니 우회하라“라는 안내 문자는 사고 2시간 30분 뒤인 오전 11시 14분경 전송됐다.
경찰은 사고의 원인과 관리 책임을 밝히기 위해 17일 전담수사본부를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교통 통제가 이뤄지지 않은 이유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파이낸셜뉴스 임우섭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