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주요 언론들은 15일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제안도,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직접적 대일 비판 발언도 없었다고 보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일본에 대해 “대화의 문을 항상 열어두고 있다“면서 “바로잡아야 할 역사문제에대해서는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가치와 기준에 맞는 행동과 실천으로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최대 보수 성향의 일간지인 요미우리신문은 이런 발언을 전하며, 관계 개선에 의욕을 보였으나 위안부 등 양국 간 현안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은 없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그간 문재인 정권이 강조해 온 ‘피해자 중심주의‘를 앞으로도 견지할 것임을 시사, 과거사 문제에 있어 일본의 양보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NHK도 문 대통령이 이번 연설에서 한일 양국 간 대화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보여주었으나,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대응‘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 법원의 징용, 위안부 배상 판결에 대해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2006년 한일 위안부 합의로 모두 해결됐다며, 최근 한국 내 법원의 배상 판결에 대해서는 한국 정부가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관계 개선을 위한 양국 고위급 대화 역시, 일본 측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해결책을 먼저 제시해야 한다는 식이다. NHK는 일본 정부의 이런 태도를 감안, 문 대통령 남은 임기 9개월 간 한일관계가 개선되기는 어렵다는 전망을 내놨다.
중도 진보 성향의 마이니치신문도 “문 대통령이 위안부나 징용 등 역사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언급하지 않고, 한일 양국이 서로 지혜를 모아 함께 극복해야 할 ‘공통의 과제‘라는 인식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들은 전날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8월 14일) 문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해서도 피해자 중심의 문제 해결‘을 강조했지만, 구체적인 대응은 언급하지않았다고 전했다.
한편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이날 일본 도쿄 지요다구 부도칸에서 열린 전국전몰추도식에 참석해 “적극적 평화주의의 깃발 아래 국제사회와 힘을 합쳐 세계가 직면한 다양한 과제의 해결에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으나, 아베 전 총리 때와 마찬가지로 과거 침략 전쟁 당시 아시아 주변국에 대한 가해 책임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파이낸셜뉴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