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4위를 기록한 것으로집계됐다.
8일 OECD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6.5% 올랐다.
이는 OECD 전체 평균(3.1%)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으로, 37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18.1%), 칠레(7.8%), 아이슬란드(6.7%)에 이어 4번째로 높은 수치다.
한국 식품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해 1월(1.8%)까지만 해도 1%대에 그쳤으나 같은해 7월 4.3%로 올라서면서 하반기 들어 오름폭을 키우기 시작했다.
2월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2월 식품 물가 상승률은 9.7%로 2011년 8월(11.2%) 이후 9년 6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아직 대다수 국가가 2월 식품 물가를 발표하지 않아 국제 비교는 어렵다.
지난달 파 가격은 1년 전보다 227.5% 뛰어오르면서 지난 1994년 5월(291.4%) 이후 26년 9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달걀 가격 상승률은 41.7%로 2017년 8월(53.3%)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그 외 사과(55.2%). 고춧가루(35.0%), 돼지고기(18.0%) 등도 가격이 큰폭으로 올랐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심의관 역시 지난 2월 소비자물가동향 브리핑에서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물가 상승 요인이 있어 상승세가 이어질 것 같다는 예측은 가능하나 인플레이션을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계란·채소류 등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과 수급 여건을 집중 점검하는 한편, 가격 강세가 지속되는 품목을 중심으로 정부 비축분 방출과 수입 확대 등을 통해 가격 안정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파이낸셜뉴스 이진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