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지난해 4·4분기 연결기준 매출 61조5500억원, 영업이익 9조500억원을 기록했다고28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8% 26.35% 증가한 수치다. 전분기보다는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8.08%, 26.76% 줄었다.
2020년 연간으로는 매출 236조8100억원, 영업이익 35조9900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보다 각각2.78%, 29.52% 늘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6조40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48% 증가했다.
4·4분기 매출은 세트 제품 경쟁 심화와 메모리 가격 하락 등으로 전분기 대비 8.1% 감소한 61조55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부품 수요 개선으로 2.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메모리 가격하락, 세트 사업 매출 감소와 마케팅비 증가, 부정적 환율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3조3000억원 감소한 9조500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률도 14.7%로 하락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디스플레이와 메모리 업황 개선으로 영업이익과 이익률이 모두 증가했다.
메모리 반도체는 모바일∙소비자용 응용처 중심으로 수요가 견조했으나, 평균판매단가(ASP)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부정적인 환율 영향, 신규 라인 양산 관련 초기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
시스템 반도체는 주요 글로벌 고객사 주문이 증가했으나, 달러 약세 영향으로 전분기 및 전년 동기대비 이익이 감소했다.
디스플레이 패널(DP)은 중소형 패널 가동률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대형 패널 시황 개선으로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무선은 연말 경쟁이 심화되고 마케팅비가 증가해 매출 이익이 감소했으나 원가구조 개선 노력을지속해 전년 수준의 견조한 두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유지했다.
네트워크는 국내 5G 증설 대응과 해외 4G∙5G 매출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다.
생활가전(CE)는 연말 성수기 가운데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판매 호조세가 지속되었으나, 원가 상승 영향으로 수익성이 둔화되었다.
4분기 환영향과 관련해, 달러화∙유로화 및 주요 이머징마켓 통화 대부분이 원화 대비 크게 약세를나타내면서 부품사업 위주로 전분기 대비 약 1조4000억원 수준의 부정적 영향이 있었다.
파이낸셜뉴스 김서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