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年 5月 月 30 日 火曜日 20:41 pm
spot_img
ホーム정치/경제경제지난해 GDP성장률 4.1%...올해 2.7% 달성 가능 

지난해 GDP성장률 4.1%…올해 2.7% 달성 가능 

지난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간 4.1% 기록했다. 지난 20106.8% 성장한 이후 11년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35000달러를 넘으면서 3년만에 증가 전환했다. 올해 1·4분기 GDP 성장률은0.6% 기록해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 2.7% 달성이 가능하다는 전망이 .

8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 1·4분기 국민소득(잠정)’ ‘2021 연간 국민계정(잠정)’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년대비 4.1%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소비와 수출이 증가 전환하고, 정부소비와 설비투자가 증가세를 지속했다.

2021 명목 국내총생산(GDP) 2071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6.7% 성장했다.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3.0% 하락하면서 미달러화 기준으로는 전년대비 10.1% 증가한 18102억달러를 기록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 40482000원으로 전년보다 7.2% 증가했다. 3년만에 증가전환한 것으로 미달러화 기준으로는 35373달러로 전년보다 10.5% 증가했다. 2021실질 국민총소득(GNI) 전년대비 3.4% 증가해 지난 2016 4.4% 증가한 이후 5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2021년은 변이 바이러스 출현에 따른 코로나19 확산 지속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 확대로 글로벌 경제 활동이 재개돼 우리나라 자동차, 반도체, 기계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됐다국내도 코로나에 적응하면서소비심리가 개선돼 민간소비가 증가했다. 2020 0.7% 마이너스 성장을 크게 웃도는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말했다.

같은 경제성장은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 전환하는 데도 가장 크게 기여했다는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올해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전기대비 0.6%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한은이 전망한 연간 성장률 2.7% 달성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전망이다.

국장은남은 분기동안 매분기 전기대비 0.5% 성장하면 올해 연간 전망치 2.7% 달성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라며우리 경제 수출이 주요국의 성장세 약화로 둔화될 가능성이 있지만 민간소비가 방역조치 완화와 추가경정예산 등으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설명했다.

1·4분기 제조업은 컴퓨터·전자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3.3%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 토목 건설이 줄어 1.6% 감소하고, 서비스업은 교육서비스업 등이늘었으나 운수업 등이 감소해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수출은 반도체,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3.6% 증가하고, 수입은 기계 장비 등이 줄어 0.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낸셜뉴스 연지안 기자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기 기사

최근 댓글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