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를 중심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이어지면서 국내 생산자 물가지수가 7개월 연속 역대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년동월대비 상승폭도 역대 최고폭으로 치솟았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10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112.21(2015=100)으로 전월 대비 0.8% 상승했다. 12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7개월째 관련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년동월 대비로는 무려 8.9% 올라 11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같은 상승폭은 2008년 10월(10.8%) 이후 최고치다.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공산품이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실제 공산품은 전달보다 1.8% 상승했다. 석탄및석유제품이 12.6% 상승하고 제1차금속제품도2.5% 상승했다. 화학제품의 경우 1년5개월 연속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도 전력,가스및증기(2.9%)가 올라 전월대비 2.3% 상승했다.
반면 서비스는 음식점및숙박서비스(0.3%)가 올랐으나 금융및보험서비스(-1.2%) 등이 내려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농림수산품은 농산물(-4.3%)과 축산물(-5.5%) 등이 내려 전월대비 4.7%
하락했다.
물가변동을 생산단계별로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대비 1.4% 상승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14.0% 상승했다. 중간재(1.4%)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수출을 포함해 국내생산품의 전반적 가격변동을 나타낸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공산품(1.7%)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1.0% 상승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12.5% 올랐다.
최진만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 팀장은 “생산자물가 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이어가고 있는 가장 큰 요인은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볼 수 있다“며 “물론 수요가 전년보다 살아난 요인과 물가 자체도 상당히 오른 공급 측면도 같이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10월 최고 상승폭은 내달에는 다소 둔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최 팀장은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11월 들어 상당히 둔화돼 11월에는 생산자물가지수 상승세도 이 같은 추이에 따라 다소 축소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파이낸셜뉴스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iphone craps real mone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