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도쿄올림픽 개최 강행과 더불어 일본 국내 관중을 경기장에 입장시키는 이른바‘유(有)관중‘ 올림픽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림픽 경기 1주일 이내 코로나19 음성 증명서를 제시하면 경기장에 입장시킨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오는 7~9월 도쿄올림픽·패럴림픽 대회에 일본 국내 관중을 수용한다는 전제 아래, 관중 전원에게 관람일 전 1주일 이내에 실시한 유전자 증폭(PCR)검사의 음성 증명서를 제출하는 조건으로 입장을 허용하기로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5월 31일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이런내용은 일본 정부의 도쿄올림픽·패럴림픽 방역 대책 초안에 포함된 내용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검사비는 자기 부담이다. 일본 정부는 이와 더불어 백신을 접종한 경우에는 접종 확인증을 제시하면 입장시킨다는 구상이다.
앞서 일본 정부,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와 국제올림픽 위원회(IOC)는 해외 관중 수용은 포기하기로 지난 3월 결론을 내렸다. 현재 남은 결정은 일본 국내 관중 수용 여부다. 6월 중으로 국내 관중을 수용할 지, 무(無)관중으로 경기를 치를 지를 놓고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 기류로는 일본국내 관중 수용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분위기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지난 5월 28일 기자회견에서 긴급사태 중에도 야구나 축구 관람객을입장시킨 경험 등을 거론하며 도쿄올림픽에 관중을 수용하는 구상에 의욕을 보였다.
일본 정부의 강행 입장으로 전문가들도 입을 닫고 있다. 일본 정부의 코로나 대책 분과회의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이 코로나 감염 확산 와중에 올림픽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발표하려고 했으나, 정식 논의를 하지 못한 채 중단됐다고 마이니치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이유인 즉슨, ‘전문가들이 단계별 대응을 거론하는 것을 정부가 싫어한다‘는 메시지가 분과위 측에 전달됐기 때문이란 것이다. 분과회 사무국은 일본 총리와 내각을 보좌·지원하는 정부 기관인 내각관방이 맡고 있다. 분과위는 감염 확산이 두 번째로 심각한 3단계인 경우 올림픽을 개최하려면 ‘무관중 개최 등으로 대회 규모를 매우 축소하지 않으면 다시 감염이 확산할 우려가 있다‘는 입장이었다고 마이니치는 전했다.
또 감염이 가장 심각한 4단계 상황에 관해서는 올림픽 취소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개최하면 의료 압박이 더욱 심각해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할 계획이었다. 도쿄올림픽 개최를 강행하려는일본 정부에 이런 발표가 결이 맞지 않다고 판단, 논의를 중지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분과회 구성원인 다테다 가즈히로 도호대 교수는 “도쿄에 긴급사태 선언이 나온 상황에서 올림픽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하면 안 된다는 것이 모두의 컨센서스(다수의 일치된 의견)”이라고 기자들에게 밝혔다고 마이니치는 전했다.
파이낸셜뉴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