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일본에서 도산한 법인만 4000여건으로 집계됐다. ‘코로나 도산‘으로 코로나 실직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9일 도쿄상공리서치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6월까지 도산(부채 1000만엔 이상, 약 1억1100만원)은 총 4001건으로 집계됐다.
아사히신문은 리먼 사태 직후인 2009년 이후 11년만에 전년 동기 수준을 웃돈 것이라고 보도했다.
주로 중소기업, 소규모 점포들의 도산이 많았다. 도산한 업체의 부채 총액 자체는 6571억엔(7조3300억원)으로 2년 만에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1억엔(11억1400만원)미만 도산이 전년 동기대비 0.4%증가한 2961건으로 3년 만에 전년 수준을 뛰어넘었다. 부채 100억엔 이상 500억엔 미만(1110억원~5570억원) 도산은 전년 동기보다 1개 적은 5건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실시된 긴급사태 선언으로 소규모 점포, 중소기업 등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지난 6월 한 달 간 도산은 총 780건으로 올들어 최대치를 기록했다. 도쿄상공리서치는 “대부분 소규모 영세 파산으로 자연재해, 미·중 대립, 소비증세 등으로 지난해 가을부터 증가됐다가 코로나사태가 이를 가속화시켰다“고 분석했다.
기업 도산의 증가는 실직으로 이어진다.
이달 초 일본 총무성은 5월 실업률이 2.9%로 전월대비 0.3%포인트 악화됐다고 발표했다. 실직자는 총 197만명으로 19만명 증가했다. 또 잠재적 실업 위험이 있는 휴직자만 423만명이다.
파이낸셜뉴스 도쿄=조은효 특파원
저작권자(C)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