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는 8일 “하루 확진자가 7000명을 돌파하는 등 확산세가 매섭다“며 “의료대응 여력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전체 확진자의 80%가 집중된 수도권은 의료계의 적극적인 협조로 병상을 지속 확충해 나가고 있지만 확진자 증가세를 따라잡기에는 힘겨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경기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개최하고 정부는 의료대응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현행 재택치료를 환자 중심으로 대폭 개선한다고 8일 밝혔다.
김 총리는 “시·군·구 부단체장 책임 하에 행정지원 인력을 확대 투입하고 관리의료기관도 병원뿐아니라 의원급까지 확대하는 등 재택치료 지원체계를 보강한다“며 “응급이송체계를 확충하고 단기·외래진료 시스템 구축, 정신건강 지원 등 의료서비스를 빈틈없이 보완한다“고 설명했다.
내년 초부터는 경구용 치료제가 고위험 재택치료자에도 처방될 예정이다. 특히 가족 등 공동격리자의 관리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고, 가구원 수에 비례해 생활지원금을 추가지급하는 등 재택치료 부담을 최대한 해소한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늘면서, 방역 긴장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김 총리는 “오미크론 확산고리 차단을 위해 빠른 진단검사를 통해 숨어있는 전파자를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질병청과 각 지자체는 오미크론 감염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는 경우 포괄적인역학조사와 선제검사를 실시하고, 신속하게 격리 조치해 달라“고 강조했다.
중기부 등 관계부처는 내년도 예산이 확정된 만큼 소상공인·자영업자 관련 지원사업이 연초에 곧바로 시행될 수 있도록 미리미리 준비하라고 지식했다.
그는 “이번 주부터 시행 중인 방역강화 조치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시름이 다시 깊어지지는 않을까 걱정이 많다“며 “정부도 방역강화에 따라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다양한 지원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고령층의 3차 접종과 청소년층의 기본접종에 속도를 내는 일도 시급한 방역 현안이다. 김 총리는“60세 이상이 전체 확진자의 35%, 위중증 환자의 84%에 이르고 있다“며 “부쩍 늘어난 청소년감염으로 학교와 가족 전체가 위협받고 있다“고 밝혔다.
청소년층에서도 백신 접종을 확대하는 것이 학생들과 우리 공동체를 보호하는 길이라며 학부모들에 호소했다.
그는 “일방적인 결정을 한 것이 아니라 많은 다른 나라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라며 “주변에서 청소년 접종에 대한 과도한 우려를 갖는 분들이 있다면, 학부모들께서 걱정하시는 상황에 대한 각 나라 근거자료 등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뉴스 임광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