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기 한·미 연합지휘소 훈련이 한반도 정세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지난 7월 27일 남북 통신선 복원 이후 관계 개선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북한이 연합훈련에 연일 경고 메시지를 내고 있어서다.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추진 중인 통일부는 “훈련 연기가 바람직하다“며 한미 군 당국의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1일 외교가에 따르면 이번 연합지휘소 훈련은 최근 한반도 정세와 결부돼 시행 여부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북은 지난달 27일 통신연락선을 전격 복원, 1년여 만에 교착상태를 깼다. 더욱이 정부는 북한에물품 반출을 승인하는 등 대화·협력 재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통일부는 지난달 30일 민간단체의 인도적 협력 물품 2건에 대해 반출을 승인했다. 지난해 9월 서해상 공무원 피격사건 이후 10개월 만이다. 북측에 영상회담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통일부는 당초 입장에서 나아가 “훈련 연기가 바람직하다“고 촉구하고 있다.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지난달 30일 기자들과 만나 “개인적으로도, 당국자로서도 연합훈련 연기가바람직하다는 입장“이라며 “지금은 한미 공조를 통해 대북 관여를 본격화할 적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통일부는 연합훈련에 대해 제반요건을 고려해 ‘지혜로운 판단이 필요하다‘고해왔는데, 이보다 더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한미 군당국은 말을 아끼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과 전작권 전환,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미국과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군 관계자는 광복절 이후 대폭 축소돼 시행될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도 “추정일 뿐이다. 확인이 어렵다“고만 했다.
미국 국방부도 상호 협의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며 원론적 입장을 내놓았다. 미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병력 보호는 한미연합사령부의 최우선 순위“라며 “한국 정부와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지침 등을 존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양국은 지난 3월 전반기 훈련에서는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최소 인원만 투입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위주로 훈련 내용도 대폭 축소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 상황, 남북관계 동향 등을 고려할 때 이번 훈련도 실시되더라도 대폭 축소 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파이낸셜뉴스 김나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