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年 6月 月 03 日 土曜日 0:48 am
spot_img
ホーム메인뉴스한국, OECD 디지털정부 평가 '종합 1위'

한국, OECD 디지털정부 평가 ‘종합 1위’

행정안전부는 한국 정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처음 실시한디지털정부평가에서 종합 1위를 차지했다고 16 밝혔다.

‘OECD 디지털정부평가 올해 처음 발표된 지표다. 6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지난 2018년부터2년에 걸쳐 33개국(회원국 29개국, 비회원국 4개국) 디지털전환 수준과 디지털정부 성숙도를 측정했다.

6 항목은디지털 우선 정부(Digital by design) △플랫폼 정부(Government as a platform) △열린 정부(Open by default) △데이터 기반 정부(Data-driven public sector) △국민 주도형 정부(User-driven) △선제적 정부(Proactiveness) 등이다.

우리나라는 종합지수 1(1 만점 0.742) 기록했고, 영국이 0.736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콜롬비아, 덴마크, 일본이 뒤를 이었다.

한국 정부는디지털 우선 정부열린 정부항목에서 1위를 기록했다. 정부가 디지털을 기본으로 공공서비스를 생산하고 혁신한 부분과 국민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제도와 행정절차를 바꾸기 위해 노력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이다.

플랫폼 정부항목에서는 2위를 기록해 부처 장벽을 허물고 통합 연계 시스템 개발을 위해 노력한 것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데이터 기반 정부 3, ‘국민주도형 정부 4위를 기록했다.

다만선제적 정부항목은 12위로 평가돼 앞으로 개선해야 과제로 꼽혔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의 대표과제인 지능형(AI) 정부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국민에게 맞춤형·선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정부로 도약할 계획이다.

OECD 사무국은한국과 영국 상위권을 차지한 국가들의 경우, 정부 정책의 중심에 디지털정부를 두고 범정부적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평가했다.

한편 한국 정부는 △OECD 2019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1 △2020 UN온라인 참여지수 1△2020 UN전자정부발전지수 2 △2020 IMD(국제경영개발연구원) 디지털경쟁력 인구 2천만이상 국가 2 △2020 블룸버그 디지털전환국가 순위 1위를 기록한 있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은공공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한국의 디지털정부 혁신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이라며앞으로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해 있도록디지털정부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 강조했다.

파이낸셜뉴스 안태호 기자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기 기사

최근 댓글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