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9일 12시를 기준으로 남북 간 모든 연락망을 차단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통일부는 “북한이 연락을 단절하겠다고 한 12시 이후까지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기준 북한은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군 통신선, 상선공용망, 판문점 채널의 연락을 일체 받지 않았다. 자신들이 임의로 정한 시간보다 더 일찍 행동에 나선 셈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날 북한이 연락 완전차단을 경고하며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한 것에 대해 “여기에 대해서는 오늘 12시 이후 상황을 보면서 대응을 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모든 남북 간 통신선의 연락이 중단된 것을 연락사무소 폐지로 봐야하느냐’는 질문에도 “그것은 해석하기 미묘한 부분으로 역시 오늘 12시 이후 상황을 보고 판단을 할 것”이라면서 일단 북한의 추가적 움직임을 지켜보자는 취지의 답변을 반복했다.
북한이 남북 간 직통연락망을 차단한 것은 이번이 최초가 아니다. 북한은 이번 사례를 포함 총 7번의 연락두절을 감행했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연락 완전 중단은 지난 2016년 2월 12일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따른 개성공단 중단 조치 이후로, 약 23개월 동안 연락두절 상태가 지속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통일부 수준의 대응이 아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의 대응이 있느냐’를 묻는 질문에는 “지금 드릴 말씀은 없고, 통상적으로 이런 사안은 유관기관과 협의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기본 방침에 대해 “남북 간 통신선은 소통을 위한 기본 수단이므로 남북 간 합의에 따라 유지돼야하고, 정부는 남북합의를 준수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2020년 6월9일 12시부터 북남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북남 군부 사이의 동·서해 통신연락선, 북남 통신시험연락선,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 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 통신연락선을 완전차단, 폐기한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 8일 열린 대남사업 부서들의 총화회의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김여정 제1부부장이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면서 “배신자들과 쓰레기들이 저지른 죄값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하고 우선 먼저 북남 사이의 모든 통신연락선들을 완전차단해버리는 것에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파이낸셜뉴스 강중모 기자
저작권자(C)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은 북한이 남북 사이의 모든 통신연락선을 차단하겠다고 밝힌 9일 인천 강화군 교동에서 북측 황해도 연안군 일대 선전마을의 모습. 서동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