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최근 10년간 비수도권에서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으로 향한 20 청년이 6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학업이나 취업을 위해서 인데, 문화 인프라나 병원 등이 수도권에 몰려있는 것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7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따르면 2013∼2022 서울·경기·인천의 20 순이동 인구(전입전출) 591000명이었다.

지난 10년간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 인구가 59만명을 넘는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전체 인구는 279000명이었다. 20대를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인구가 빠져나간 것이다.

서울로 순유입된 20 인구는 341000명이었다. 서울로의 순유입 인구는 10 전인2013 21000명에서 2019 48000명까지 늘어난 2021 36000명까지 줄었다가 지난해 54000명으로 늘었다.

인천·경기 지역 상황도 비슷하다. 10년간 인천으로 순유입된 20대는 15000, 경기는235000명이었다.

반면 비수도권 지역은 유출 러시가 계속되고 있다. 경남에서 20 105000명이 순유출돼 17 시도 10년간 가장 많은 순유출을 기록했다. 경북이 9만명, 전남이 76000, 전북이 76000명으로 그다음이었다.

대구(-66000), 부산(-55000), 광주(-34000) 등의 광역시에서도 20인구가 순유출을 기록했다.

수도권을 제외한 시도 가운데 세종(34000)만이 유일하게 순유입을 기록했다.

20대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향하는 주된 배경에는 취업·학업 등이 꼽힌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간한지역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보고서를 보면 청년층의 지역 이동요인으로 경제적 요인인 고용률·경제성장률 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 이후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임금·고용률·성장률 격차가 커지면서 청년의 비수도권 유출도 심화했다는 것이다.

문화 의료서비스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커진 점도 수도권 집중의 요인으로 짚었다.

대학 진학 등도 20 이동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수도권 쏠림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올해도 수도권으로의 20 순유입은 이어지고 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대는 47000명이었다.

서울로 4만명, 경기로 5000, 인천으로 2000 각각 순유입됐다.

비수도권에서는 대전(2000) 세종(200) 순유입을 기록했다.

반면 경남(-12000), 경북(-7000), 대구(-6000), 전남(-5000) 등은 순유출을 보였다.

파이낸셜뉴스 홍예지 기자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