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상반기 전체 극장 관객수가 3241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0.3% 감소했다. 매출액 역시 2738억원으로 70.6% 줄어들었다.
■ 코로나19 여파로 관객수 매출액 모두 2005년 이후 최저
21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0년 상반기 한국영화산업 결산’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관객 수와 매출액 모두 200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0년 상반기 한국영화 관객 수는 전년 대비 64.9%(3689만 명 ↓) 감소한 1999만 명이었고, 매출액은 전년 대비 64.5%(3095억 원 ↓) 줄어든 1706억 원이었다.
2020년 상반기 외국영화 관객 수는 전년 대비 76.3%(4002만 명 ↓) 감소한 1242만 명이었고, 매출액은 전년 대비 77.1%(3474억 원 ↓) 줄어든 1032억 원이었다. 올해 상반기 한국영화와 외국영화 역시 2005년 이후 최저 관객 수와 매출액을 기록했다.
특수상영 매출액은 전년 대비 87.3%나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미국 극장이 3월 17일이후 영업 중단에 들어가면서 특수상영 매출비중이 높은 마블영화를 비롯한 할리우드 프랜차이즈영화의 개봉이 연기됐다. 이로 인해 올해 상반기 3D·4D·IMAX·ScreenX 등 특수상영 매출도 급감했다.
2020년 상반기 특수상영 전체 관객 수는 전년 대비 371만 명(86.2% ↓) 감소한 60만 명이었다. 2020년 상반기 특수상영 전체 매출액은 전년 대비 443억 원(87.3% ↓) 감소한 64억 원이었다.
3D·4D·IMAX·ScreenX 등 특수상영 관객 수가 2020년 상반기 전체 관객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였고,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였다.
■ 관객 수 반등의 변곡점, 5월 황금연휴와 6월 영화관 입장료 할인권 배포
월별 전체 관객 수로는 4월 전체 관객수가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4월 전체 관객 수는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이 가동을 시작한 2004년 이후 4월뿐 아니라 월별 관객 수 모두에서 최저인 97만 명이었다. 4월 7일 1만 5,429명을 기록한 것이 2004년 이후 최저 일일 전체 관객 수였고, 4월 둘째 주말(4월 10일~12일)에는 9만 8,695명을 기록해 2004년 이후 최저 주말 관객 수를 나타냈다.
그러다 부처님 오신 날에서 어린이날로 이어지는 최장 6일의 황금연휴에 관객 수가 증가해 5월에는 전월 대비 55만 명 늘어난 153만 명의 전체 관객 수를 기록했다. 이어 6월 4일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관 입장료 할인권 배포와 함께 일주일 간격으로 ‘침입자’ ‘결백’ ‘사라진 시간’ ‘#살아있다’ 등 규모 있는 한국영화가 개봉하면서 6월 한국영화 관객 수가 크게 늘었다.
6월 한국영화 관객 수는 전월 대비 13배 가까이 증가한 278만 명을 기록했다. 한국영화 관객 수 증가에 힘입어 6월 전체 관객 수도 전월 대비 153.2% 늘어난 386만 명을 기록하면서 극장 정상화에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 재개봉작 흥행 1위 ‘위대한 쇼맨’, 상반기 전체 1위는 ‘남산의 부장들’
코로나19 여파로 2월 말 이후 개봉 예정작들이 줄줄이 개봉을 연기하면서 극장은 재개봉작으로위기 돌파를 도모했다. 극장만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위대한 쇼맨’(28만 3천 명), ‘라라랜드’(13만 6천 명) 등 음악 영화와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5만 8천 명) 등 4D 영화가 강세를 보였다.
2020년 상반기 흥행 순위 1위는 설 연휴 개봉작 ‘남산의 부장들’(475만 명)로 집계됐다. ‘남산의부장들’과 같은 날 개봉한 ‘히트맨’241만 명)이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크리스마스 시즌 개봉작‘백두산’(196만 명) 은 3위에 자리했다. 외국영화로는 1월 개봉한 ‘닥터 두리틀’(161만 명)이 4위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
독립·예술영화 흥행 순위 1위는 ‘프리즌 이스케이프’(21만 7천 명)였다. 저예산 장르영화를 제외하면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이 14만 7천 명을 기록한 것이 올해 상반기 독립·예술영화로는 가장많은 관객을 모은 것이었다. 6월 18일 개봉한 ‘야구소녀’가 13일 간 3만 명의 관객을 모았는데, 저예산 장르영화를 제외하면 한국 독립·예술영화로는 올해 상반기 최고 성적이었다.
■ 롯데엔터테인먼트, 2020년 상반기 배급사별 점유율 1위
‘히트맨’(241만 명), ‘천문: 하늘에 묻는다’(103만 명), ‘#살아있다’(119만 명) 등 7편을 배급한 롯데가 관객 수 477만 명, 관객 점유율 14.7%로 2020년 상반기 배급사 관객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남산의 부장들’(475만 명)을 배급한 쇼박스로 관객 수 475만 명, 관객 점유율 14.7%를 기록했다. 3위는 ‘백두산’(196만 명, 공동배급), ‘클로젯’(127만 명) 등 5편을 배급한 CJ로 관객 수271만 명, 관객 점유율 8.4%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관객 점유율 1위였던 디즈니는 코로나19 사태로 마블영화의 개봉을 올해 하반기로연기한 영향 등으로 인해 6위로 내려앉았다.
파이낸셜뉴스 신지아 기자
저작권자(C)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