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홈페이지
이낙연 국무총리는 2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회담에서 “한•일 관계의 경색을 조속히 타개하기 위해 양국 외교당국간 대화를 포함한 다양한 소통과 교류를 촉진시켜 나가자”고 말했다.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이날 이 총리는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아베 총리와 20여분간 회담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우리나라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 이후 처음 열린 한일 양국간 고위급 회담이다. 이 총리는 총리로서 첫 일본 방문이다.
한•일 양국 총리는 “양국은 중요한 이웃국가다. 한•일 관계의 어려운 상태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같이 했다. 아울러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한•일, 한•미•일 공조가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아베 총리는 “국가간 약속은 지켜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당국간 의사소통을 계속해 나가자”고 했다.
이에 대해 이 총리는 “일본이 그런 것처럼, 한국도 1965년 한일기본관계조약과 청구권협정을 존중하고 준수해 왔다.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총리는 “이제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이번에도 한일 양국이 지혜를 모아 난관을 극복해 갈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 총리는 양국 관계의 발전을 희망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아베 총리에게 전달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감사를 표했다.
또 이 총리는 나루히토 일왕 즉위를 축하하고 태풍 피해를 당한 일본 국민들께 위로의 뜻을 전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감사를 표하며, 문 대통령이 일본 국민의 태풍 피해에 대한 위로전을 보내준 데 대해서도 사의를 전했다.
한편, 이날 양국 총리간 회담후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은 브리핑에서 “양 총리는 회담을 통해 진지하고, 유용한, 의미 있는 의견교환을 나눴다. (분위기가) 그리 나쁜 편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조 차관은 “(일본 수출규제 조치가 있은) 7월 이후 3개월 반만에 지도자급 회담이 이뤄진 것은 (양국 관계에) 분기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좀 더 공식적으로 정부간 채널에서 (양국간 대화가) 더 활발히 이뤄지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파이낸셜뉴스 정상균 기자 저작권자(C)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